책소개
‘위안부’에서 ‘위안소’로 눈을 돌려 해묵은 난제의 돌파구를 마련하다 ―일본군 ‘위안부’ 문제에 관한 새로운 이해와 접근법일본군 ‘위안부’ 문제는 지금껏 해법을 찾지 못한 채 난항을 겪고 있다. 일본 정부와 일본군이 ‘위안부’ 모집과 위안소 운영에 직접적으로 관여했다는 엄연한 사실조차 한일 양국의 극우세력과 역사수정주의자들에 의해 부정되고 있는 현실이다. 더구나 ‘위안부’ 문제는 한일관계의 가장 뜨거운 감자임에도 불구하고 피해자의 존재와 증언을 제외하면 한국이 자체적으로 발신하는 메시지는 빈약하다.위안부 피해자의 증언과 실재를 새롭게 벼려낼 수 있는 여지는 없을까? 피해자가 모두 사망하는 시점에서 과연 어떤 활동이 가능하고 필요할까? 이 책은 이러한 질문에 대한 답을 찾기 위해 ‘위안부’에서 ‘위안소’로 눈을 돌림으로써 일본은 물론 한국의 정부와 국민을 움직일 새로운 무기를 찾고, ‘위안부’ 문제를 한국이 주도하고 해법을 모색하는 전기를 마련하고자 했다.‘진중일지’라는 역사적 증거를 통해 위안소의 본질을 증명함으로써 일본군 ‘위안부’ 문제에 대한 새로운 이해와 접근법을 제시하는 이 책은, 일본군 ‘위안부’ 문제는 물론 과거사에서 기인하는 한일관계의 극한 대립을 푸는 새로운 방안의 창출에도 기여할 수 있다.
저자소개
서울대학교 인류학과를 졸업하고 일본 도쿄대학교 일본사학과에서 〈전시노동력정책의 전개〉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1996년부터 한신대학교 일본학과 교수로 재직하며 일본 근현대사를 가르치고 연구하고 있다. 한일역사공동연구위원회 연구위원, 역사비평 편집위원, 도쿄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특임교수, 교토대학 객원교수, 외교부 정책자문위원, 동북아역사재단 자문위원 등을 지냈다. 전쟁과 노동력 동원, 천황제와 민주주의 등의 연구와 함께 일본군 ‘위안부’, 역사 교과서 왜곡, 독도 문제와 같은 한일관계의 쟁점에 관해서도 글을 쓰고 의견을 제시해왔다.
지은 책으로 《왜 일본은 한국을 정복하고 싶어 하는가》, 《일본사 여행》, 《일본 아베 정권의 역사인식과 한일관계》(이하 공저), 《한중일이 함께 쓴 동아시아 근현대사 1~2》, 《일본 우익의 어제와 오늘》, 《미래를 여는 역사》, 《한중일 역사인식과 일본교과서》, 《화해와 반성을 위한 동아시아 역사인식》, 《근현대 일본정치사》 등이 있고, 옮긴 책으로 《20세기 일본의 역사학》, 《근대 일본의 사상가들》(공역), 《일본인의 전쟁관》, 《일본 그 국가·민족·국민》 등이 있다.
목차
책을 펴내며1장 위안소 제도의 전사 1. 육군의 관계 법령 1) 진중요무령과 작전요무령 2) 내무생활에 관한 법령과 규정 3) 야전주보규정 2. 만주사변기의 성매매업소 1) 혼성 제14여단의 외출과 성병 대책 2) 보병 제27연대 제1보병포소대의 사례 3) 제7사단과 성병 상황 4) 만주사변에서 배태된 위안소 2장 중일전쟁 발발과 위안소 설치 1. 개전 초기의 전황 2. 중지나방면군과 위안소 1) 위안소 설치의 단초 2) 주둔과 위안소 3. 성병의 실태와 콘돔 조달 1) 성병 환자 상황과 관련 대책 2) 콘돔 수급 4. 일본군의 급여와 군표 1) 급여 체계 2) 군표와 송금 3) 위안소에서의 송금과 저금3장 위안소 설치와 이용의 실태 1. 야전중포병 제14연대와 위안소 1) 상하이 주둔과 위안소 2) 전속 위안소의 개설과 운용 2. 제3사단 보병 제68연대 제3대대와 위안소 1) 주둔 태세의 정비 2) 전장의 위안소 실태 3. 독립공성중포병 제2대대와 위안소 1) 창저우 주둔과 초기 위안소 2) 주둔 태세 개편과 위안소 이용의 변화 3) 전장에서의 상황 4) 이후의 주요 사항 4. 제11사단과 타이완의 위안소 1) 중일전쟁의 참전 2) 타이완 주둔의 개시 3) 타이완 사례의 특징4장 위안소 체계의 안착 1. 대규모 전투와 위안소 개설 1) 확대되는 전선 2) 관련 기관의 협의 2. 쉬저우 전투와 위안소 1) 제114사단과 위안소 2) 제14사단과 위안소 3. 우한·광둥 전투와 위안소 1) 우한 전투와 위안소 2) 광둥 전투와 위안소 4. 독립산포병 제3연대와 위안소 1) 우한 북부 주둔과 위안소 2) 우한 동부 주둔과 전속위안소 3) 후베이성 당양 주둔과 위안소 4) 아시아·태평양전쟁 시기의 상황5장 보병 제9여단과 위안소 이용의 장기화 1. 중일전쟁 시기의 위안소 1) 중일전쟁 초기 상황 2) 1941년 상하이 인근에서의 상황 2 .아시아·태평양전쟁 시기의 위안소 1) 말레이시아 믈라카 2) 말레이시아 스름반 3) 인도네시아의 말랑과 암본6장 아시아·태평양전쟁 시기의 지역별 위안소 체계 1. 중국 상황 1) 상하이의 독립혼성 제17여단 2) 셴닝의 제6사단 보병 제47연대 3) 광저우의 독립보병 제13여단 4) 카이펑의 제35사단 5) 후난성 사오양의 제116사단 6) 단편적인 위안소 관련 자료 2. 싱가포르와 말레이시아의 상황 1) 전투의 경과 2) 독립자동차 제42대대와 위안소 3) 제25군과 위안소 4) 군정 조직의 위안소 관리 5) 말레이시아의 상황3. 버마의 상황 1) 전투의 경과 2) 만달레이의 위안소 3) 그 밖의 지역의 위안소 4. 필리핀의 상황 1) 전투 경과와 주둔부대의 개괄 2) 남부 도서의 위안소 3) 루손과 인근 섬, 마닐라의 위안소 5. 인도네시아의 상황 1) 전투 경과 2) 각지의 위안소7장 오키나와 결전과 위안소 1. 일본군의 배치와 그 변화 2. 이에섬의 위안소 1) 비행장 건설부대의 배치 2) 첫 위안소 건설 3) 독립혼성 제15연대 제3대대와 위안소 4) 그 밖의 비행장에서의 위안소 건축 3. 독립혼성 제44여단과 위안소 1) 독립혼성 제15연대의 상황 2) 제2보병대의 상황 4. 제62사단의 위안소 체계 1) 중국에서의 상황 2) 오키나와 주둔과 사단사령부의 위안소 통제 3) 독립보병 제15대대와 위안소 4) 그 밖의 부대의 상황 5. 제24사단과 위안소 1) 오키나와에서의 주둔 체계 2) 보병 제89연대와 치중병 제24연대의 휴양과 외출 3) 보병 제32연대의 외출과 위안소 6. 오키다이토섬의 위안소 1) 부대 배치 상황 2) 위안소와 위안부의 실태맺음말 찾아보기